비보, 다우징(Dowsing)/풍수

88향법 원칙 / 12포태 득파수의 길흉화복

석란나리 2011. 4. 12. 16:59

팔십팔향법(八十八向法)의 기본원칙(基本原則)


나경패철로 88향을 쉽게 보기 향(向)에다 당문파를 놓고 (生,旺,墓)칸를 보면 된다.

1. (生) 寅申巳亥

2. (旺) 子午卯酉

3. (墓) 辰戌丑未


  八十八向法에 의해서 坐向을 결정하고 운영하는데는 다음과 같은 원칙이 있다.


   1) 나경패철 24방위를 12쌍산(雙山) 배합으로 운용한다.

壬子, 癸丑, 艮寅, 甲卯, 巽巳, 丙午, 丁未, 坤申, 庚酉, 辛戌, 乾亥,24방위를 陽인 4유8천간(四維八天干)과 陰인 12地支를 陰陽이 서로 배합되도록 배열한 것이 쌍산(雙山)이다. 

이때 五行은 地支五行을 따르며 불배합(不配合) 쌍산은 사용하지 않는다.

 

 

 2) 파구(破口)를 중심으로 사국(四局)을 결정한다.

木, 火, 土, 金, 水 五行중 土는 중앙을 나타내므로 빠지고 木局, 火局, 金局, 水局의 사국(四局)을 가지고 운용한다. 각국의 결정은 보국(保局) 안에서 물이 빠져나가는 파구(破口)를 기준으로 한다. 木局은 丁未, 坤申, 庚酉이고, 火局은 辛戌, 乾亥, 壬子이며, 金局은 癸丑, 艮寅, 甲卯이고, 水局은 乙辰, 巽巳, 丙午이다.

 

 3) 향(向)을 기준으로 국(局)을 정할 때는 삼합오행(三合五行)으로 한다.

向을 기준으로 사국(四局)을 정하는 것을 향상작국(向上作局)이라하며 이때 오행은 삼합오행(三合五行)이다. 亥卯未는 (木)이므로 향이 乾亥, 甲卯, 丁未일 때는 향상목국(向上木局)이 되며, 寅午戌은 (火)이므로 艮寅, 丙午, 辛戌 향은 향상화국(向上火局)이고, 巳酉丑은 (金)이므로 巽巳, 庚酉, 癸丑은 향상금국(向上金局)이 되며, 申子辰은 (水)이므로 坤申, 壬子, 乙辰 향은 향상수국(向上水局)이다.

 

 4) 득수(得水)한 물이 혈의 향과 음양교배(陰陽交配)하는 물을 기준한다.

팔십팔향법은 의수입향(依水立向)이 원칙이지만 모든 물이 다 입향(立向)의 의지수(依支水)가 아니다. 오직 혈을 감싸고돌아 향과 마주보고 음양교배할 수 있는 물만이 의지수다.

혈의 좌측에서 득수한 물이 혈 앞을 감싸고돌아 우측으로 파구(破口)되는 좌수도우(左水倒右)하는 물이나, 우측에서 득수한 물이 혈 앞을 감싸고돌아 좌측으로 파구되는 우수도좌(右水倒左)하는 물을 보고 입향을 한다. 아무리 크고 좋은 물이라도 혈 앞을 지나지 않으면 용수교배(龍水交配)를 할 수 없다. 따라서 물의 대소(大小)에 구애받지 말고 항상 용혈(龍穴)을 감싸고 흐르는 물을 기준 해야 한다.

 

 5) 좌선룡(左旋龍)에 우선수(右旋水), 우선룡(右旋龍)에 좌선수(左旋水)가 원칙이지만 지나친 제약을 받지 말라.

龍이 穴을 결지(結地)하는 방법에 우선룡(右旋龍)에 좌선수(左旋水), 좌선룡(左旋龍)에 우선수(右旋水)가 원칙이다. 그러나 실제 용진혈적(龍眞穴的)한 곳이라도 이를 가늠하기 어려운 곳이 많다. 따라서 용의 좌우선(左右旋)에 지나친 제약을 받지 말고 左右 어떠한 물이든 확실하게 용혈(龍穴)을 감싸주는 물이 혈의 향과 음양교배 할 수 있는 물이다.

 

 

 6) 내파(內破)가 우선이고, 외파(外破)는 차선이다.

혈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물은 혈에서 제일 가까운 물이다. 대부분 혈지는 내파(內破)와 외파(外破)가 같은 방위에 있는 경우가 많으나 다른 경우도 있다. 이럴 경우 내파와 외파를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방위로 입향(立向)해야 한다. 그러나 불가능할 경우에는 내파를 우선하고 외파는 다음이다. 내파 기준 입향은 당대(當代) 혹은 빠른 시기의 길흉을 관장하고, 외파 기준 입향은 후대(後代) 혹은 늦은 시기의 길흉을 관장한다.

 

 

 

 

  7) 파구(破口)는 혈 앞을 지나는 물이 최종적으로 나가는 곳이다.

물은 산 따라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는 것이 원칙이다. 비록 左靑龍 右白虎가 낮아 보이지 않더라도 靑龍 또는 白虎가 물길 따라 있다고 생각해야 된다. 물이 흐른다는 것은 지세가 그와 같은 형태로 되어있다는 뜻이다. 좌청룡 우백호가 서로 교차한 지점에서 좌우수가 합수(合水)되고 보국 밖으로 나간다. 따라서 혈 앞을 지나는 물이 다른 물과 합수되는 지점이 내당수(內堂水)가 최종적으로 나가는 파구(破口)이다. 내파(內破)는 이곳의 방위를 나경패철 8층 천반봉침(天盤縫針)으로 측정하여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

------------------------------------------------

 

12포태(十二胞胎) 득파수(得破水)의 길흉화복(吉凶禍福)

 

 

  1) , 태수 (, 胎水)

절태궁(絶胎宮)에서 득수한 물이 혈 앞 명당으로 들어오면 아이가 생기지 않아 자손이 끊기고, 부자(父子)간에는 불목(不睦)하고 부부간에는 불화(不和)한다. 절태수가 장대(長大)하면 여인이 음란하게 된다.

반대로 절태궁으로 파구되면 모든 자손이 나란히 발전하나 작은 벼슬과 작은 부자가 된다.

 

  2) , 생수 (, 生水)

양궁(養宮)이나 장생(長生宮)에서 득수한 물이 혈 앞 명당으로 들어오면 모든 자손이 균등하게 대발복하여 문명 높은 자손과 부귀(富貴)가 기약된다.

반대로 양궁이나 생궁으로 파구되면 어릴 때 집안이 망하며, 도박과 사치로 집안을 망하게 한다. 특히 청상과부와 단명한 자손이 우려된다.

 

  3) 목욕수 (沐浴水)

목욕궁(沐浴宮)에서 득수한 물이 혈 앞 명당으로 들어오면 제주는 뛰어나나 사치와 음란으로 패가망신한다.

반대로 목욕궁으로 파구되면 문장과 그림에 뛰어나 풍류를 즐기고, 작은 부자가 된다.

 

  4) 관대수 (冠帶水)

관대궁(冠帶宮)에서 득수한 물이 혈 앞 명당으로 들어오면 칠세아동능작시(七世兒童能作詩)’라 하여 모든 자손이 잘되며, 총명한 자손이 나와 이름과 가문을 빛낸다.

반대로 관대궁으로 파구되면 자손과 재물에 발전이 없고 고아나 과부가 나오며 집안은 가난해진다.

 

  5) 임관수 (臨官水)

임관궁(臨官宮)에서 득수한 물이 혈 앞 명당으로 들어오면 소년등과(少年登科)에 관로(官路)가 양양하다.

반대로 임관수로 파구되면 성재지자조귀음(成才之子早歸陰)’이라 하여 집안의 대들보가 될 똑똑한 자손이 빨리 죽는다.

 

  6) 제왕수 (帝旺水)

제왕궁(帝旺宮)에서 득수한 물이 혈 앞 명당으로 들어오면 부귀쌍전(富貴雙全)하고 대대장상(代代將相)이 기약된다.

반대로 제왕궁으로 파구되면 석숭(石崇)같은 거부(巨富)도 하루아침에 패망하고 전사자(戰死者)가 나온다.

 

  7) 쇠방수 (衰方水)

쇠방수(衰方水)는 득수한 물이나 파구되는 물 모두 길하다. 쇠방에서 득수한 물이 혈 앞 명당으로 들어오거나 파구되면 총명한 자손이 소시등과(少時登科)하여 그 문명(文名)이 드높다.

 

  8) , 사수(, 死水)

병궁(病宮)이나 사궁(死宮)에서 득수하거나 파구되면 모두 흉하다. 득수나 파구 모두 이혼, 병사(病死), 전상(戰傷) 등 재앙이 우려된다. 그러나 득수는 흉하지만 파구는 길하다는 이론도 있다.

 

  9) , 고장수 (, 庫藏水)

묘궁(墓宮) 즉 고장궁(庫藏宮)에서 득수한 물이 혈 앞 명당에 들어오면 모든 자손이 발전이 없으며, 사람이 상하고 집안이 망한다.

반대로 묘궁으로 파구되면 부귀하고 자손이 번창하는 길격이 된다.

  

0  안산, 조산 : 보혈의 앞쪽에 있는 산으로 혈을 향하여 머리를 조아리듯이 단정해야 한다.

0  주산(현무) : 보혈의 뒷쪽에 있는 산으로 병풍처럼 현무를 보호하며 좌,우 균현을 이루어야 한다.

0  수구 : 산이 끝나는 지점과 물이 만나는 지점으로 파구(혈 앞을 지나는 물이 다른물과 합수되는 지점)라고도 한다.

0  좌선룡 ,우선수 : 좌쪽을 감싸고 용이돌고, 우쪽을 감싸고 물이 흐르는 격

0  용호는 관쇄(잠그듯), 상부(여심벌)하는게 좋다

0  백호의 주변으로 백호의 몸체를 호위하며 깃발처럼 솟아오른 귀사(貴砂)가 여러개 있거나 단정하고 수려한 봉우리가 백호가 뻗어내리는 도중에 2~3개 정도 있으면 사회 저명인재 배출

0  청룡이 2~3겹으로 되어있고 그 사이에 작은 연못이나 우물이 있으면 후손 부귀하며 끝 머리가 생동감이 있고 암석이 돌출되면 인재 배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