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좌향의 기준점
- 대문과 좌향의 방위는 : 집터의 중심에서
- 각방과 부엌의 방위는 : 가옥의 중심(예; 한옥 - 대들보의 중앙)
* 현관문을 기준으로 : 길방에 안방, 부엌, 책상, 계산대 설치
0 용의 종류
- 대간룡 : 태조산 부터 시작하여 중추맥으로 이어진 용맥
- 간 룡 : 맥의 줄기를 이루고 있는 용
- 지 룡 : 맥의 가지를 이루고 있는 용
- 주 룡 : 집터, 묘 혹은 점혈 예정지로 이어지는 능선만
0 산의 종류
- 태조산太祖山 : 가장 높은 산
- 중조산中祖山 : 할아버지 산(두 번째 높은 산)
- 소조산小祖山 : 혈의 길흉에 직접 영향을 주는 산
- 진 산(부모 산, 현무봉) : 혈성穴星 바로 뒤에 솟은 산
. 태(식) : 진산에서 혈까지의 맥으로 혈에 기를 보내줌(태는 꿈틀 대며 어머니가 임신한 것처럼 불록 솟아있어야)
- 혈穴 : 음, 양택지(평탄한 장소)
0 형태론
- 형세론 : 태조산을 중심으로 보는 견해
- 형국론 : 진산을 중심으로 보는 견해
- 좌향론 : 혈을 중심으로 보는 견해
0 사신사 등의 요건
- 전 주작은 봉황이 나는 형상
- 후 현무는 거북이가 목을 빼고 아래를 내려다 보는 형상
- 좌 청룡은 형상이 꿈틀대는 형상
- 우 백호는 주인을 호위하듯 웅크리고 있는 형상(꿈틀대면 주인에게 달려드는 형상으로 좋지 않다)
- 수구(파구)는 산맥등이 감싸며 막고 있는 형상, 산과 산이 꽉 조여 물이 빠져 나가는 형상이 빠르고 힘차야 한다
0 좌향론
- 안대좌향眼對左向 : 전방에 보이는 산중에서 아름다운 형상을 한 산 방향으로 향을 잡는 것
- 이기좌향 : 물과 산줄기의 배치각도를 보고 방향을 잡는 것
* 보통 동남향, 남향, 동서향, 때에 따라서 동향, 서향으로도 좋다
0 득수, 파구 찾는 법
- 파구는 진파구辰破口 , 미파구未破口, 술파구戌破口, 축파구丑破口의 4개의 방위로 대별한다
. 진파구 : 乙 辰 巽 巳 丙 午
. 미파구 : 丁 未 坤 申 庚 西
. 술파구 : 辛 戌 乾 亥 壬 子
. 축파구 : 癸 丑 艮 寅 甲 卯
* 파구를 중심으로 四局결정 : 保局 안에서 물이 빠져 나가는 파구를 기준으로 결정한다(목화 토 금수)
. 木局 : 丁未 坤申 庚酉
. 火局 : 辛戌 乾亥 壬子
. 金局 : 개丑 艮寅 甲卯 발
. 水局 : 乙辰 巽巳 丙午
* 본국(水局) 파구(乙辰) 향(甲卯;향상작국) --- 좌수우도 ----> 경좌갑향, 유좌묘향
* 자왕향 => 좌측 임관궁(臨官宮)에서 득수하여 제왕수(帝旺水) 쇠수(衰水) 병수(病水)의 기운을 가지고 혈 앞 명당에 모여 사향(死向)에서
혈과 음양교합 후 향 우측 묘궁(墓宮)으로 파구됨---- 우선룡 원칙
- 입수용과 좌
* 곤룡 : 정좌개향, 신좌을향
* 신(申)룡 : 정좌개향, 경좌갑향
* 경룡 : 유좌묘향, 곤좌간향
* 유룡 : 곤좌간향, 유좌묘향, 건좌손향
* 신(辛)룡 : 유좌묘향, 곤좌간향
- 득수 : 혈 자리에서 물의 유입이 보이기 시작한 방위
- 입수룡 : 뒷산맥으로 입수도두 중앙에 패철을 놓고 입수룡을 본다(마지막 변화한 지점의 방위 측정)
- 절(節) : 용의 마디마디의 변화한 점
- 혈장의 4요건 : 입수도두, 선익, 순전, 혈토
- 3要 : 대문, 上房, 주방
* 좌향은 2~3년 8~9년에 효과 나타나
- 四局, 향상작국
. 사국 : 각 국의 결정은 보국保局안에서 破口를 기준으로 결정
목화토금수(木火土金水) 오행중 土는 중앙을 나타내므로 버리고 목국, 화국, 금국, 수국을 활용한다
* 목국 : 정미 곤신 경유
* 화국 : 신술 건해 임자
* 금국 : 개축 간인 갑묘
* 수국 : 을진 선사 병오
# 좌수우도左水倒右 : 혈의 좌측에서 득수하여 물이 혈 앞을 감싸고 돌아 우측으로 파구되는 형태
. 向上作局( 向을 기준으로 局을 정할 때 三合五行으로 한다)
亥卯未는 木이므로 향이 乾亥 甲卯 丁未일 때 향상목국이 된다
寅午戌은 火이므로 향이 艮寅 丙午 辛戌일 때 향상화국이 된다
巳酉丑은 金이므로 향이 選巳 庚酉 癸丑일 때 향상금국이 된다
申子辰은 水이므로 향이 坤申 壬子 乙辰일 때 향상수국이 된다
# 수국水局의 길한 座向 : 언제나 좌와 향은 상충의 관계에 있다
. 壬子 生龍座에 丙午 胎向
. 辛戌 帶龍座에 乙辰 墓向
. 庚酉 官龍座에 甲卯 死向
. 坤申 旺龍座에 艮寅 病向
# 혈앞을 지나는 물이 다른 물과 합수되는 지점이 內堂水가 되고 최종적으로 나가는 곳이 破口이다
0 우선수, 좌선수
- 좌선룡 에 우선수가 원칙 : 물이 오른쪽에서 유입되어 왼쪽으로 흘러 나가가는 것
- 우선룡에 좌선수가 원칙 : 물이 왼쪽에서 유입되어 오른쪽으로 흘러 나가는 형상
* 음양교배는 득수한 물이 혈의 향과 교차되는 지점을 기준으로 삼음
0 이기론 : 바람과 물의 관찰을 기초로한 이론에 중심을 둠
0 음과 양
- 음기는 용이요 양기 바람과 물(사람, 동물도 될 수 있다)이다
따라서 물과 바람은 좋은 방위에서 취해야 한다
0 가상학
- 북(坎) : 훼나무, 석류나무, 감나무, 소나무, 살구나무 길하다.
- 동북(艮) : 매화나무 길하다. [ 거목나무 좋지 않다]
- 동(震) : 벗나무, 소나무, 매화나무, 은행나무 중 1개만 있어도 길하다.[금지목 : 살구나무]
- 남동(巽) : 매화나무, 오동나무, 뽕나무가 길하다.
- 남(離):오동나무, 거목,대추나무, 활엽수가 길하다. [ 느티나무,소나무는 흉하다]
- 남서(坤) : 대추나무, 작약나무, 매화나무가 길하다. [ 거목은 흉하다]
- 서쪽(兌) : 느름나무, 소나무, 대나무(재물) 길하다.[ 금지목 : 버드나무, 복숭아]
- 북서(乾):석류나무, 오동나무, 소나무, 감나무, 밤나무, 은행나무가 길하다. 최고의 길 방위로 여긴다. 함부로 배어선 아니 된다.
- 중문 : 훼나무(부귀)
- 문정에 대추나무 2그루
- 담장에 향나무, 석류나무가 좋다
* 무방위 길목 : 향나무, 향기를 내뿜는 화초류, 감나무, 대추나무, 대나무, 훼나무, 사철나무
0 건물의 황금비율 : 1 : 1.618(남북으로 길게)
0 마당, 정원(庭園)
양택(陽宅)에서 건물 앞마당은 마치 음택(陰宅)에서 혈 앞의 명당(明堂)에 비유되는 곳이다. 건물은 지기를 받는 곳이고, 마당은 양기인 천기를 받는 곳이다. 건물이 남성과 귀(貴)를 상징한다면 마당은 여성과 부(富)를 상징한다.
- 마당의 기운이 건물 내부에 그대로 전달되기 때문에 마당의 길흉 형태에 따라 집의 길흉화복은 크게 달라진다. 따라서 마당은 평탄하고 원만하면서 짜임새가 있어야 한다. 마당은 네모 반 듯 하거나 원만한 원형으로 평탄한 것이 길상이다. 마당이 평탄하지 못하고 기울어지거나 깨지고, 꺼지고, 각이 지면 부인이 병이 있고 재산이 모이지 않는다.
- 마당의 흙은 깨끗하면서 밝은 생토(生土)여야 길격(吉格)이다. 검고 어두운 색깔의 흙이나, 썩고 냄새나는 부토(腐土), 질퍽한 진흙 등은 사토(死土)로 흉격(凶格)이다. 마당을 콘크리트 등으로 포장을 하거나 큰돌과 자갈 등을 깔면 열의 전도율이 빨라 좋은 기를 발생시킬 수 없다. 흙에 비해 돌은 빨리 더워지고 빨리 차가워지기 때문이다.
- 마당에 깨끗한 잔디나 작은 나무를 심는 것은 좋으나 뿌리가 깊은 큰 나무, 괴목(怪木), 고목(枯木), 잡목(雜木)을 심으면 기를 혼탁하게 하거나 흐름을 방해하므로 좋지 않다.
- 마당에 인공적으로 연못을 파는 것은 매우 흉하다. 연못을 파면 건물의 생기를 보호하고 있는 수기(水氣)가 모두 연못으로 흘러가므로 지기(地氣) 역시 흩어지고 만다. 인공적인 연못은 물의 순환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조금만 관리를 소홀히 해도 오염되거나 탁해져 나쁜 기운을 내 품는다.
- 마당 한쪽이 푹 꺼지는 형상이므로 요함(凹陷)이 되어 좋지 않다. 인공적인 연못을 조성한 집은 먼저 부인이 병을 얻고 사업도 부진하여 결국 망하고 만다.
- 마당에 석등(石燈)이나 인물석(人物石) 또는 큰 수석(水石) 등과 같은 괴석(怪石)을 세우면 상부석(孀婦石)이라 하여 부인이 상복(喪服)을 입는다고 한다. 큰돌을 마당에 들여놓아도 안 좋지만 절대로 세우지 말아야 한다. 마당이 앞뒤로 양분되는 것도 좋지 않다. 집안의 기가 한쪽으로 모이지 않고 분산되기 때문이다. 마당은 재물과 부인을 관장하므로 두 집 살림을 할 수 있으며 결국 재산이 분산되고 가족들의 다툼이 끊이지 않는다. 특히 태방(兌方서쪽)에 후원(後苑)이 있으면 요부소첩(妖婦少妾)으로 인하여 실덕손재(失德損財)가 있다.
- 마당이 삼각형 등 날카롭게 각이 지면 총이나 칼로 인한 흉화(凶禍)를 당한다하였으니 강도, 교통사고, 수술 등 불의의 사고를 당할 수 있다. 그러므로 뾰족한 부분을 담장을 쌓아 부드럽게 바꾸어 주어야 한다.
- 마당이 집보다 높으면 안 된다. 이는 전고후저(前高後低)의 흉한 형태가 된다.
향별 나무심기 (0) | 2012.08.20 |
---|---|
동사택,서사택 / 음양오행 (0) | 2012.07.24 |
오행과 성질 (0) | 2011.12.10 |
88향법 원칙 / 12포태 득파수의 길흉화복 (0) | 2011.04.12 |
양택 순서 (0) | 2009.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