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풍수의 이런, 저런 것

비보, 다우징(Dowsing)/풍수

by 석란나리 2021. 4. 14. 20:54

본문

흘러 들어오는 물이 궁현수로 감싸면 재물이 쌓인다.

터를 좌청룡 우백호가 다정히 감싸안으면 큰 인물이 나온다,

청룡에서 입수하여 우백호로 물이 빠져 나가면 재물이 머물길 없다.

산 정상에 성체만한 큰 바위가 있으면 큰 부자가 난다.

지기가 우뚝 멈춰선 자리는 산상에 최고의 길지다.

용맥을 멈춰서게하는 큰바위가 있으면 길지다.

북현무가 중첩으로 둘러싸면 아들 후손들까지 벼슬길이 끊이지 않는다.

터를 좌청룡 우백호가 감싸안고 앞이 확트인 바다가 있으면 큰 인물이 겹쳐나고 부를 이룬다.

좌청룡이 혈처를 향해 고개를 숙이면 아들이 번성한다.

백호가 잘 감싸고 들면 대대손손 재물이 넉넉하다.

와우의 유방자리는 자손이 발복한다.

택백정기가 응결된 곳은 길지이자 명당이다.

묘로 이어지는 용맥이 끊기면 후손들간 분란이 있다.

용맥이 지나는 과협에 음택을 쓰면 후손들이 감응받기 어렵다.

과녁빼기(삼거리에서 도로를 정면으로 보고있는 건물) 건물은 중심을 비중앙에 놓고 문을 측면으로 내는 것이 좋다

 

물길을 정면으로 치받은 터는 바람끼가 있으며 특히 재정에 문제가 있다.

 * 직수(물이 집앞 정면으로 들어오는 형상) : 수파로 음기가 강하다.

물길이 사선으로 흘러 집앞 쪽을 감싸안고 흐르는 금성수(반어 반궁수))을 역수라하며 최고의 명당수라 한다. 

집 옆에서 흘러들어오던 물이 집앞 쪽을 향하여 직선으로 빠져나가는 형상을 화성수라하며 최고의 흉수로 본다.

 * 재정고갈

터에서 규봉이 좌청룡 쪽에 보이면 아들과 사위가, 우백호 쪽에 보이면 딸과 며느리가 재산을 노리는 형국으로 두꺼비(재산을 지키는 형상)를 놓으면 좋다.

터널(풍살)이 있는 곳, 집안이 갑자기 풍비박산의 위험이 닥칠 때에는 돌탑을 실내, 실외에 놓는다.

송전탑과 불길한 다리가 보이는 쪽에는 거북이를 타워가 보이는 쪽에는 수로,어항,수조,분수대 등을 설치하면 물가죽이 일렁이면서 살기를 차단한다.

지네 형상을 닮은 용이 터쪽으로 들어오면 두꺼비, 닭모양의 형상을 설치한다.

북서문은 제일 강한 살풍이므로 가급적 큰 엄폐물로 가리되 부득이하다면 해태상을 놓는 것이 좋다.

절개지, 석산개발터 또는 터를 노려보는 듯한 물형이 보인다면 코끼리(제왕)상을 설치한다. 

집 주변에 사각형의 바위, 산이 있으면 금전운이 끊이지 않는데 이는 금고형상으로 보며, 집 안에 금고는 북동방(고궤사, 天市方,간방)에 대물운이 좋아지며 곳간은 은밀한 곳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비보, 다우징(Dowsing) > 풍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어  (0) 2016.10.25
[스크랩] 파구를 정하고 보는법  (0) 2016.10.24
관상  (0) 2014.04.25
사신  (0) 2014.03.17
음양오행  (1) 2013.05.06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