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원주택의 정의 ◈ |
자연을 그리워하고 인간본성이 구체적으로 자연으로 돌아 가고자하는 실천으로 옮겨질 때, 그 꿈의 |
표현이 전원주택이다. |
"도시를 벗어나 전원속에 위치한 주택"의 단순한 표현이 아니라, 새소리, 물소리, 바람소리, 흙내음, |
나무의 숨결등을 그리워 하며 자연회귀의 본성을 실천하며 현실이 될 때, 그것의 표현이 전원 주택인 |
것이다. |
|
|
=============================== 전원주택의 유형 =============================== |
|
[ 황토주택 ] |
최근들어 황토매트, 황토침대, 황토방, 황토장판 등 황토에 대한 연구와 관심이 급증하고 있으며, |
앞으로는 황토는 우리 생활에 적용되어 상품화 되고 21세기 각종 오염된 공해 속에서 건강을 지켜주는 |
훌륭한 자연소재가 될 것이다. |
또한 이 시대 나무와 흙을 새로운 건축자재로서 이용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으며, 특히 황토는 약성 |
을 지니고 있어 건축자재로서 새롭게 평가받고 있다. |
 |
장점 : 바깥공기의 뜨거움과 차가움을 차단하여 자연적으로 냉온방이 됨. |
또한 습도 조절기능이 뛰어나 항상 쾌적한 습도와 공기밀도를 유지시켜 주며, 자재 가격이 |
저렴하다. |
단점 : 황토가 주택자재로서의 물에 약하다. |
|
|
[ 목조주택 ] |
전원주택의 대표적 스타일이다. 목조주택은 보온과 단열효과가 뛰어나다. |
또 가공하기가 쉬워 원하는 스타일로 건축할 수 있다. |
그러나 환율상승에 따른 전원주택 업체 도산과 경기침체로 수요가 위축된 상태다 |
 |
장점 : 구축 방법 용이. 벽두께가 얇아 실면적이 넓다. 차음성이 뛰어남. 단열효과가 높아 연료 |
비절감. 외관이 수려하고 감촉이 좋아 친근감을 준다. 강도와 탄성이 커서 안정성 보장. |
단점 : 내화성과 내구성이 약함. 흡수성이 강해서 신축, 변형이 심핟. 대부분이 외국 수입재 이 |
므로 건축비가 많이 든다. 부패하거나 해충의 피해를 입기 쉽다. |
|
|
[ 통나무 주택 ] |
통나무 주택은 목재 자체가 가지고 있는 부드러움과 세련미 때문에 특별한 실내장식이 필요없다. |
도시는 물론 농촌, 산간, 해변 등 주위 자연 환경과 잘 어울리는 주택 형태이다. |
특히 모양이나 색깔, 무늬 등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이 세상에 똑같은 통나무 주택은 없는 셈이다. |
 |
장점 : 조립기간이 짧고 시공 비용을 절약해주는 건식공법 때문에 이익이고, 콘크리트 집의 12배 |
정도 뛰어난 나무의 단열 효과가 연료비를 일반주택에 비하여 20~30% 절약하여 준다. |
단점 : 통나무 주택을 시공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원목의 질. |
|
|
[ 벽돌 주택 ] |
환율상승에 따른 영향이 덜해 IMF형 전원 주택 재료다. |
벽돌은 과거에는 붉은색 위주로 공급 됐지만 최근엔 여러가지 물질을 첨가 배합하고 있다. |
따라서 색상과 디자인을 자유롭게 꾸밀 수 있고 외장 마감을 인조석 등으로 하면 다양한 연출이 |
가능하다. |
 |
장점 : 자연적인 분위기를 연출, 고도의 축조 기술이 필요없어 손쉽게 지을 수 있다. |
건축 계획상 다양성을 충족, 다양한 공간활용이 가능하다. 방음, 단열효과가 좋다. |
단점 : 습식 공사 이므로 공사 기간이 길다. 목재나 흙에 비해 습도조절 능력이 줄어든다. |
벽체가 두꺼워 실면적이 줄어든다. |
|
|
[ 스틸 하우스 ] |
철골조 단열 보강 주택으로 지난 95년 표준화 주택으로 분류됐다. 시공이 빠르고 단열 효과가 뛰어난 |
게 장점이다. 최근 나온 국산 패널식 구조를 이용하면 다양한 형태로 꾸밀 수 있다. |
 |
장점 : 품질관리가 충분하므로 안전하다. 가격이 안정되어 있다. 비용절감을 할 수 있다. |
현물을 보고 선택할 수 있다. 공사 기간이 짧다. 일손이 적게든다. |
단점 : 재료의 품질에 주의하여야 한다. 조립으로 할 수 없는 부분이 있다. 운반에 의한 하자가 |
발생한다. 접합부가 많아 하자가 발생할 수 있다. 단열성, 열용량, 차음성이 약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