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구 문예지

기타 시와 문학/시학

by 석란나리 2011. 11. 11. 23:09

본문

문예 [ 文藝 ]

사전 썸네일

월간 문예종합지.
1949년 8월 1일 발행인 모윤숙(毛允淑), 편집인 김동리(金東里)에 의해 순문예 월간지로 창간되었다. 창간호는 국판 202쪽. 창간호에는 염상섭(廉想涉)‧최정희(崔貞熙)‧김광주(金光洲)‧황순원(黃順元)‧최태응(崔泰應)‧허윤석(許允碩)‧홍구범(洪九範)의 소설과 박종화(朴鍾和)‧김동명(金東鳴)‧모윤숙(毛允淑)‧유치환(柳致環)‧박두진(朴斗鎭)‧박목월 (朴木月)‧조지훈(趙芝薰)‧김춘수(金春洙)‧이종산(李鍾山)의 시, 그리고 김진섭(金晉燮)‧이병기(李秉岐)‧백철(白鐵)‧조연현(趙演鉉) 등의 논문이 실려 있다. 2권 5호부터 편집인이 조연현(趙演鉉)으로 바뀌었고, 홍구범(洪九範)‧박용구(朴容九) 등이 편집 실무를 담당했다.
통권 12호 발행 직전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문예사에서 비상구국선전대를 조직하기도 했다. 이후, 결호를 많이 내다가 1952년 봄 환도하여 잡지 편집을 재개하였고, 1953년에는 신년호와 5․6호를 발간하였다. 1954년 3월 통권 21호로써 종간되었다. 이 잡지를 통해 손동인(孫東仁)‧이동주(李東柱)‧송욱(宋稶)‧전봉건(全鳳健)‧이형기(李炯基)‧박재삼(朴在森)‧황금찬(黃錦燦)‧한성기(韓性祺)‧천상병(千祥炳)등의 시인과 강신재(康信哉)‧장용학(張龍鶴)‧곽학송(郭鶴松)‧최일남(崔一男)‧서근배(徐槿培)‧손창섭(孫昌涉) 등의 소설가가 등단했다. 정부 수립 후 한국전쟁기까지 문단의 대표적인 순수문예지라고 할 수 있다.
-------------------------------

고서 >잡지 > 문예(정지용 시 게재호)(2권 2호,1949.1.1)
     

  이전상품 문예(정지용 시 게재호)(2권 2호,1949.1.1) 다음상품
 
*문예(정지용 시 게재호)(2권 2호,1949.1.1)
*문예사/1949.1.1/194쪽
-----------------------------------------

* 문예(통권 제2호)
* 문예사/1949년9월/236쪽
* 강신재 작가의 문단데뷔작(추천작품)인 "얼굴" 게재
-----------------------------------------

* 문예(통권3호)
* 문예사/1949년10월/176쪽
* 김춘수 시인의 "기" 수록
  염상섭의 "일대의 유업" 게재
-----------------------------------------

*황순원의 "노새"게재호(문예,송년호)(1949년)
*문예사/1949년/168쪽
-----------------------------------------

* 혼야,비오는창(이동주,송욱의추천시게재)(문예 제2권,4호,1950년)
* 모윤숙/문예사/1950.4.1(초판)/162쪽
-----------------------------------------

*문예(1950.5)
*모윤숙/문예사/1950년/170쪽
-----------------------------------------

*문예(신춘호.1953.2)
*모윤숙/문예사/1953.2/175쪽/1장낙장173~174쪽
-----------------------------------------

문예(창간5주년기념호.1953.9)
*모윤숙/문예사/1953.9/199쪽
-----------------------------------------

*박재삼의 추천시'강물에서'게재호(문예.1953.11 ; 허용회 소장본)
*모윤숙/문예사/1953(초판)/195쪽
----------------------------------------

3.12)(최일남의 추천작품 "쑥"이야기 게재호)
*문예사/1953.11/180쪽(편집후기 1장 탈락)
----------------------------------------

*문예(신춘호.1954.1)
*모윤숙/문예사/1954.1/218쪽
----------------------------------------

*문예(폐간호.1954.3)
*모윤숙/문예사/1954.3/190쪽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문학과 예술 [ 文學藝術 ]


 창간-종간

1954.04.01~1957.12

1950년대 문예지.
1954년 4월 1일 오영진(吳泳鎭)이 주간으로, 박남수(朴南秀)‧주요섭(朱耀燮)‧원응서(元應瑞) 등을 편집진으로 하여 창간되었다. 창간 당시에는 출판 등록 관계로 『문학과 예술』이라는 이름으로 2호까지 발행하였다. 창간호는 국판 150쪽. 창간호에는 유치환(柳致環)‧박목월(朴木月)‧김춘수(金春洙)‧김윤성(金潤成)의 시와 황순원(黃順元)‧최인욱(崔仁旭)‧오영수(吳永壽)‧박용구(朴容九)의 소설, 그리고 조연현(趙演鉉)‧김병기(金秉騏)‧이한직(李漢稷)의 논문 등이 실려 있다. 1955년 6월 『문학예술』로 속간되었으며, 1957년 12월 통권 33호로 종간되었다. 특히 외국문학 소개에 힘을 기울이는 한편, 신인 추천제를 두어 많은 신인을 발굴하였다.
이 잡지를 통해 시인 박희진(朴喜璡)‧박성룡(朴成龍)‧성찬경(成贊慶)‧신경림(申庚林)‧민재식(閔在植), 소설가 이호철(李浩哲)‧선우휘(鮮于煇)‧송병수(宋炳洙), 평론가 이어령(李御寧)‧유종호(柳宗鎬) 등이 등단하였다. 
------------------------------------------------------------

*문학예술(1955.8)
*문학예술사/1955.8/150쪽
------------------------------------------------------------

*문학예술(제2권 5호.1955)
*문학예술사/1955년/150쪽
-------------------------------------------------------------

*이호철의 "나상"(황순원 추천) 게재 문단 등단호(문학예술,1956.1 ; 허용회 소장본)+황순원의 불가살이 게재
*문학예술사/1956.1/208쪽
-------------------------------------------------------------

*신경림추천시'갈대'게재(문학예술.1956)
*문학예술사/1956(초판)/208쪽
-------------------------------------------------------------

*황순원의 바바리,구상의 焦土에서 게재호(문학예술,1956.10특대호)(이중섭:컷)
*문학예술사/1956.10/204쪽
-------------------------------------------------------------

*허만하 시인의 추천시 및 당선소감 게재(문학예술 1957.12)
*문학예술사/1957.12.1/210쪽

@@@@@@@@@@@@@@@@@@@@@@@@@@@@@@@@@@@@@@@@@@@@@@@@@@@@@@@@@@@@@@@@@@@@@@@@@@@@@@@@@@@@@@

자유문학 [ 自由文學 ]


  • 창간-종간

    1956.06.01~1963.04.30

  • 창간인

    김기진

  • 구분

    잡지

 자유문학자협회의 기관지.
1956년 6월 1일 자유문학자협회의 소설분과위원장을 맡고 있던 김기진(金基鎭)을 편집 겸 발행인으로 하여 창간되었다. 주간은 자유문학자협회 사무국장이었던 송지영(宋志英), 편집장은 김이석(金利錫)이었다. 창간호는 국판 242쪽. 창간호에는 이은상(李殷相)‧신석정(辛夕汀)‧장서언(張瑞彦)‧설창수(薛昌洙)‧구상(具常)‧김종문(金宗文)‧이정호(李正鎬)‧이인석(李仁石)‧조향(趙鄕)‧박태진(朴泰鎭)의 시와 이무영(李無影)‧박영준(朴榮濬)‧최인욱(崔仁旭)‧정한숙(鄭漢淑)의 소설, 그리고 주요한(朱耀翰)‧정비석(鄭飛石)‧이헌구(李軒求)‧노천명(盧天命)‧이휘영(李彙榮)‧이하윤(異河潤)‧백철(白鐵)‧이숭녕(李崇寧)의 논문 등이 실려 있다.
자유문인협회의 기관지이면서도 범문단적인 문예지로서의 역할을 했다. 1959년 3월 김송(金松)으로 주간이 바뀌었고, 1960년 6월 통권 39호를 낸 후 자유문인협회의 기관지를 벗어나 김광섭(金珖燮)이 판권을 인계받고 주간이 되었다. 그 후 1962년 3월부터 편집위원제를 두고 김종문이 주간으로 취임했으며, 이헌구모윤숙안수길(安壽吉)‧이인석‧이철범(李哲範) 등 5인이 편집위원이 되었다. 동년 7월 주간 김종문이 물러났으며, 1963년 1월부터 이헌구모윤숙을 편집인으로 하였다. 그러나 운영난 때문에 1963년 4월 30일 통권 71호로 종간되었다.
자유문인협회의 기관지인 당시에는 추천제를 두어 유승휴(柳承畦)‧남정현(南廷賢)‧박용숙(朴容淑)‧신동한(申東漢)‧최인훈(崔仁勳)‧오찬식(吳贊植) 등 40명의 신인을, 자유문학사로 출발한 후부터는 신인 작품 당선제를 두어 이인수(李仁秀)‧유현종(劉賢鍾)‧오인문(吳仁文)‧김현황명걸(黃明杰)‧최원규(崔元圭) 등 43명의 신인을 문단에 등단시켰다.
-----------------------------------------------------------

* 자유문학(창작특집호)
* 한국자유문학자협회/1957년/240쪽
* 유치진의 "왜 싸워" 희곡 300매 전재
-----------------------------------------------------------

*자유문학 20호 기념 특대호(1958년)(표지화:천경자)
*자유문학자협회/1958년(초판)/328쪽
-----------------------------------------------------------

*박영준 정비석 등 현역작가 단편 13인집(자유문학,1958.5)
*한국자유문학자협회/1958.5/260쪽
-----------------------------------------------------------

* 자유문학(수필문학특집호)
* 한국자유문학자협회/1958년/280쪽
-----------------------------------------------------------

*기행문 21인 특집호(정비석,모윤숙등)(자유문학,1958.8 ; 허용회 소장본)
*한국자유문학자협회/1958.8/280쪽
-----------------------------------------------------------

* 자유문학(시.수필 특집호)
* 자유문학자협회/1959년/330쪽
-----------------------------------------------------------

*정한숙의 IYEU島(600매)전작게재호(자유문학,1960.12)
*자유문학사/1960.12/312쪽
-----------------------------------------------------------

@@@@@@@@@@@@@@@@@@@@@@@@@@@@@@@@@@@@@@@@@@@@@@@@@@@@@@@@@@@@@@@@@@@@@@@@@@@@@

민성 [ 民聲 ]
 사전 썸네일

  • 유형

    문헌

  • 시대

    현대

  • 성격

    잡지

  • 편저자

    유명한

  • 제작시기

    1945년

  • 간행/발행/발급자(처)

    유명한

1945년에 창간되었던 월간 종합교양잡지. 유명한(柳明韓)이 편집인 겸 발행인으로 창간, 건실하게 민중 속으로 파고든 월간지이다.

주간은 초대 임학수(林學洙)에 이어, 김창집(金昌集)·박영준(朴榮濬)이었다. 광복 직후의 소용돌이 속에서도 좌우익에 기울지 않으면서, 또한 무비판적이지도 않아서 지식층을 비롯한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았다.

B5판에 100면 정도의 잡지였으나, 인쇄에서도 좋은 효과를 노렸고, 어려운 재정사정을 무릅쓰고 꾸준히 발행하여 품위를 잃지 않았다.

문화인의 종합잡지답게 편집국장이 바뀌어도 때로는 김구(金九)의 연두감언(年頭感言, 1949년 1월호)과 신석우(申錫雨)의 연두사를 싣는가 하면, 당시의 유명한 신문인 이정순(李貞淳)의 「선거와 신정부의(구상)」(1948.4.1 발행), 특집 「중국은 어데로」 등 정치문제와 아울러 외지에 실린 「피카소의 모습」을 전재하기도 하고, 연극문제·영화문제·음악시평 등과 작게는 부엌사정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다루었다.

1949년 3월호에는 특집 「남북통일」에서 안재홍(安在鴻)·조소앙(趙素昻)·함상훈(咸尙勳)·현상윤(玄相允)·엄항섭(嚴恒燮) 등의 묵직한 글이 실리기도 하였다.

그해 6월호에는 외무부장관 임병직(林炳稷)의 「대일배상과 우리의 주장」과 당시 국회부의장 김약수(金若水)의 「국회의 업적과 반성」이 나란히 실렸다.

이와 같이, 이승만 직계의 임병직과 국회프락치사건의 김약수의 글이 나란히 실릴 수 있었던 것으로 보아서도 편집태도가 시류(時流)보다 전체국민을 의식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1950년 5월 1일 통권 제45호로 종간되었다.

---------------------------- 

민성 종합잡지

참고문헌

『한국잡지총람』(한국잡지협회, 1982)
『한국잡지사』(김근수, 청록출판사, 1980)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참고문헌

『한국예술지』
『해방문학 20년』(한국문인협회, 정음사, 1966)
『한국의 문학지 20년』(백철, 세대, 1968.5.)
『내가 살아온 한국문단』(조연현, 현대문학사, 1968)
『모윤숙문예』(사상계, 1960.2.)

 출처 ; 네이버한국문학사전 - '문인/작품/단체/간행물/문학일반' 정보, 권영민 편 

 

'기타 시와 문학 > 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사의 교양  (0) 2012.06.22
현대문학과 근대소설  (0) 2011.11.16
시조의 형식  (0) 2011.10.31
스토리문학 창간호 표지(2004年)  (0) 2011.10.23
hypertext의 의미  (0) 2011.09.06

관련글 더보기